원문 기사: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333551
요약:
- 중국 정부기관에서 AI 활용한 감시 시스템 개발 의혹: 중국이 메타의 오픈소스 AI 모델 '라마'를 활용해 감시 및 정보 수집 시스템을 개발했다는 의혹 제기됨.
- 오픈AI, 중국 기관 계정의 감시시스템 디버깅 시도 발견: 중국 관련 챗GPT 계정들이 감시 시스템 디버깅에 자사 기술 사용하자 즉시 차단했다고 발표함.
- 오픈AI의 보고서 내용: 중국 소프트웨어가 서방 SNS에서 대화를 수집해 감시 보고서를 발송하는 것으로 조사됨, 한 중국 계정이 챗GPT로 스페인어 기사를 생성해 남미 주요 뉴스 매체에 게재시킴.
- 북한 계정: 북한 관련 계정들이 챗GPT로 허위 이력서와 온라인 프로필 생성, 서방 기업 일자리 속임수 시도함.
코멘트:
- 지금까지 중국 정보기관에서 여론 조사 등을 수행한다는 의혹은 있었지만 증거가 나온 것은 처음.
- 다만 내가 보는 관점에서는 오픈AI가 이걸 적발했다는 사실 자체가 내부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조금 놀랐다. 이걸 적발할 정도라면 꽤나 규모가 큰 모니터링을 하고 있을 것 같고. 엄청난 데이터가 모이는 것을텐데 그 부가가치도 상상을 초월할 것 같다.
- 딥시크 이후로 오픈ai도 모델을 오픈소스로 변경하는 안에 대해서 고민한다고 그러던데 모니터링 규칙 같은 것도 함께 공개될거기 때문에 아마 오픈소스로 변경되지 않을 것 같다.
반응형
'경제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파월의 낙관론에 3대 지수 급반등…IT기업은 혼조 (1) | 2025.03.09 |
---|---|
[경제] 내수 부진·트럼프 관세폭탄…"한은 금리 내릴 것" 전망 (0) | 2025.02.23 |
[국제] 전쟁 계속하나…푸틴 "러시아 수호는 신이 맡긴 사명" (0) | 2025.02.23 |
[국제] 우크라 재건 사업 관련 국내주 기대감 (0) | 2025.02.15 |
[기술] "피지컬 AI 확산"…구글도 휴머노이드 만든다 (1)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