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개발, 보안)/CS 개념

OSI 7 계층과 계층별 네트워크 장비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단계별로 7개 계층으로 나눈 것이다.

 

비슷한 개념으로 TCP/IP 4계층이 존재하는데, 아래 사진으로 알아두면 되겠다.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각 계층별 간단한 정의와 계층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들을 알아보자

 

Physical Layer (1 계층, 물리 계층)

말 그대로 물리적인 전송매체를 통해 데이터 전송과 데이터의 신호변환이 일어나는 계층입니다.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 리피터, 허브, 케이블

 

Data Link Layer (2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오류제어, 순서 제어, 흐름 제어등을 수행하며 MAC주소를 기반으로 통신합니다.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 브릿지, L2 스위치

 

Network Layer (3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전송에서 경로제어와 여러 네트워크 간 연결을 담당합니다. IP주소를 기반으로 경로를 탐색합니다.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 라우터, L3 스위치(라우팅)

 

Transport Layer (4 계층, 전송 계층)

전송계층에서는 TCP와 UDP프로토콜이 주로 사용되며, 포트를 사용해 응용프로그램들이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 게이트웨이, L4 스위치(로드 밸런싱)

Session Layer (5 계층, 세션 계층)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논리적인 연결, 세션을 제공합니다.

 

Presentation Layer (6 계층, 표현 계층)

데이터 표현이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를 수행합니다.

 

Application Layer (7 계층, 응용 계층)

데이터 통신의 최종 목적지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이 해당됩니다. HTTP, FTP, Telnet과 같은 프로토콜이 여기 해당됩니다.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 L7 스위치(웹 방화벽, 보안 스위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