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 스크랩

[국제] "中 무차별 정보수집 차단"…美 '딥시크 금지법' 나온다

인도호랑이 2025. 2. 8. 17:56

원문 기사: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712191

 

"中 무차별 정보수집 차단"…美 '딥시크 금지법' 나온다

"中 무차별 정보수집 차단"…美 '딥시크 금지법' 나온다, 美 의회서 법안 발의…日·대만 등 주요국 차단 확산 딥시크 코드 분석한 보안 전문가 "로그인 정보 이동통신사로 보내 中정부, 이름·문

www.hankyung.com


요약:

  • 미국 연방 의회의 딥시크 금지 법안 추진: 미 연방 의회에서 딥시크의 인공지능 앱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 딥시크가 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중국 정부가 이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보안 우려가 배경
  • 공화당, 민주당 합심한 발의: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다린 라후드 의원(공화·일리노이)과 조시 고트하이머 의원(민주·뉴저지)이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를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할 예정. 법안에는 딥시크와 모기업의 모든 앱 제거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 보안 업체 조사 결과: 보안 전문기업의 조사에 따르면 딥시크 앱에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중국 통신사에 보낼 수 있는 코드가 숨겨져 있고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 시스템에 노출될 수 있다는 지적 있음
  • 미국 내 상황: 이미 국방부와 해군 등이 자체적으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있음. 2022년에도 중국 앱 ‘틱톡’ 사용을 금지한 바 있음.
  • 딥시크의 AI 모델: 딥시크는 낮은 비용으로 생성형 AI 모델 ‘R1’을 출시해 주목받았으나 정보 수집·검열 의혹으로 사용 제한 국가가 늘고 있음.
  • 각국의 대응: 이탈리아, 호주, 일본, 대만 등이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영국과 프랑스는 규제 필요성을 검토 중임.
  • 중국 외교부 대응: 기업에 위법한 데이터 수집 요구를 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으나 서방 국가의 불신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임.
 

코멘트:

  • 사실 어제 바로 전 해외법인에 딥시크와 알리바바의 LLM 모델 QWEN도 전수 차단 요청한다는 공지 보낸다고 급하게 일을 했었다.
  • 결국 중국 정부가 중국 기업에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열람할 수 있는 법이 존재하는 이상 앞으로도 중국 LLM 모델에 대한 신뢰도는 보장 할 수 없다 보는게 맞을 것 같다. 관련하여 기업에서 취할 수 있는 조치는 크게 없을 것인데 이번 사건으로 이게 전 세계 사람들에게 각인된다면 중국 정부 차원에서도 따로 조치가 취해질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 됨.
반응형